누드, 포르노그래피 예술의 역사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고 고찰하고 반추하는, 즉 존재 자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벌거 벗은' 누드는 가식이나 꾸밈이 없는, 그래서 진짜이며 아무것도 섞이지 않은 ‘순수한’ 인간이라 할수도 잇을 것이다. 그래서 누드에 예술, 혹은 .. 낙서01-에로스론 2017.03.25
에로스의 변신 계속3-프로이드 프로이드 “성(性)의 탄생에 대해서 과학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매우 하찮은 것이어서 우리는 이 문제를 어떠한 가설도 밝혀내지 못한 어둠에 비유할 뿐이다. 이런 종류의 가설을 만난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분야에 속하는 것이지만 매우 환상적이다. 과학적인 설명이라기보다 하나의 신화에 가.. 낙서01-에로스론 2007.01.06
에로스의 변신들 (계속)- 에로스의 족보 앞에서 언급한 담화 (에로스의 변신들(01) 참조)가 에로스의 탄생에 관한 이야기인데, 여기서는 에로스의 이 족보라는 것이 에로스의 본성에 대해 벌써 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다. 메티스 제우스 (신중, 배반, 불성실, (전지 전능, 신들의 신) 지성, 술책의 신) ∨ 포로스 페니아 (길, 여정, 행로 (결핍, 가난.. 낙서01-에로스론 2007.01.04
에로스의 변신들(01) [...이렇듯] 에로스의 변신들은 너무나 많다. 수많은 고대의 작가와 신화가 이 인물, 혹은 신 또는 신성의 탄생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예컨대 밀교(密敎)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는 오르페우스교의 ‘천지개벽설’에서는 에로스는 어머니도 아버지도 없는 원초적인 하나의 힘이다. 아리스토파네스가 .. 낙서01-에로스론 2006.12.30
에로티시즘/에로스는 누구인가?(01) 로마신화에서는 큐피돈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에로스는 고대 신화에서는 즉흥적이고 유희적인 사랑의 신으로 등장한다. 대개의 경우에는 양 어깨에 날개가 있으며 손에 활과 화살을 든, 벌거벗은 귀여운 어린애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매우 짓궃으면서도 쾌활하다. 그는 화살로 신이나 남자.. 낙서01-에로스론 2006.12.30
에로티시즘이란 무엇인가 ?(01) 국어 사전은 ‘에로티시즘’을 “남녀간의 애욕이나 관능적인 사랑, 혹은 그것을 강조하는 경향, 성애”라고 적혀있다. 아무래도 모호하다. 하여 차입된 단어이니 만큼 원어를 참조해본다. 맞춤법은 영어의 발음을 차용하고 있다. 하여 먼저 영․한 사전을 찾아보면 “에로티시즘, 호색성, 성욕.. 낙서01-에로스론 2006.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