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3

정보통신기술이 시니어(노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프린스턴 대학과 뉴욕 대학의 연구자들은 가짜 뉴스가 성행하는 원인에 대해 연구한 적이 있다. 2016년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 페이스북을 사용했다고 자인하고 도 자신들이 공유한 데이터를 상호 참조하는 데 동의한 약 1,200명의 미국인의 공유 데이터를 분석한 후, 이를 가짜 뉴스를 퍼뜨리는 것으로 알려진 여러 웹사이트 목록의 공유 데이터와 비교했다.이 연구는65세 이상의 Facebook 사용자가 18~29세 연령대보다 "거의 7배 더" 많은 가짜 뉴스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같은 결과는 2019년 워싱턴 포스트의 지원을 받아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되었다.결론은"현재 60세 이상의 미국인 전체가 온라인에서 접하는 기사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젊은..

한국인 노벨 문학상 수상 ?

한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 한림원의 요청을 받아 몇 차례 작가들을 추천한 바 있는데, 특히 1982년 김동리의 을화>가 실제로 유력한 수상 후보로 거론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김동리 외에도 서정주가 1990년과 1994년, 최인훈이 1992년 추천되었으며, 그 밖에도 황순원, 박경리, 황석영, 김지하, 이문열, 신경숙 등의 작가가 언론 등에서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곤 했다. 북한에서는 이기영이 두만강>으로 후보에 오른 적이 있다고 한다. 한 때는 시인 고은이 꾸준히 후보로 언급되었다가, 2018년 성폭력 사실이 폭로된 이후에는 누구도 그를 거론하지 않게 되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맨부커상을 2016년에 수상한 한강이 있긴 하나 맨부커 인터내셔널 부문상은 2005년에 생겼으며 ..

독서노트 2024.10.11

노벨문학상 선정 논란에 대한 노벨 위원회의 응답, 변명?

노벨상 선정을 당당하는 수위덴 한림원도  전 세계적으로 기념비적인 문학계의  인물 또는 작품을 누락했다는 점을 인정한 바 있다. 몇 몇 작가들은 때이른  죽음으로 인해 수상할 기회를 갖지 못했다고 한다. 마르셀 푸르스트. 라이너 마리아 릴케, 앙토넹 아르토 ( 위 3명 다 51세에 사망), 블라디미르 마야코부스키, 폴 세일란 ( 각 36세와 49세 사망),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38세) 등 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한다.  전 심사위원(2022년 사망) 이기도 한 케엘 에스프 마르크(  Kjell Espmark 어케 발음하는 지 몰라 내 맘대로 읽음)는 프란츠 카프카나 페르난도 페소아, 콘스탄틴 카바피, 오시프 멘델스탐 같은 경우 주요 작품이 작가 사망 후 출판되었기에 작가 살아 생전에 그 가치를 재대로..

독서노트 2024.10.11

기타 논란(II)

1회의 최 유력후보였던 톨스토이.  스웨덴과 역사적으로 불편한 관계인 러시아인에 기독교적 무정부주의를 표방. 초창기의 수상자 선정, 특히 낙선자의 경우 에는 설립자인 알프레드 노벨이 유언에 명시한 의 개인적 취향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것으로 간주된다. 대표적인 낙선자로는 톨스토이, 체홉, 에밀졸라, 오거스트 스트린 버그, 헨리 제임스, 토마스 하디, 입센 등이 거론된다, 노벨은 이들이 너무 비관적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토마스 하디, 테스> 남성 이기주의와 사회적 인습에 희생당한 한 여인의 불행을 조명하고 있다. 천진한 시골 처녀가 도덕적 편견과 인습, 불가항력적인 운명에 지배당하고 파멸해 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여성 옹호의 태도를 보여 준 작품이 헨리크 입센, 인형의 집>, 불충실한 노예처럼 대하는..

독서노트 2024.10.11

노벨 문학상 선정 논란의 여지

평화상만큼은 아니지만 정치적인 논란이 꽤 많이 제기되는 상이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정부를 비판하는 인사들에게 상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며 이로 인해 해당 작가의 문학 이전에 정치적 문제와 얽혀있다는 말이 많이 나온다. 1958년 파스테르나크가 소련 정부와의 관계 때문에 수상을 거부하려 하는 걸 강제로 수상시킨 사례나 2012년 수상자인 모옌의 친정부적 행보에 대한 논란이 대표적이다. 20세기 후반부터의 수상자 트렌드를 잘 살펴보면, 자신의 나라나 정부의 정책 등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작가들이 수상하는 일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노벨상을 받자 정작 본국의 정부는 떨떠름한 표정을 짓는 경우가 제법 있다. 파무크. 파무크가 터키의 아르메니아,쿠르드 학살 문제를 계속 끄집어내기 때문에 터키 ..

독서노트 2024.10.11

노벨문학상 선정 절차

노벨상 수여 기관들은 매년 10월 노벨상 발표를 전후해 한 부문당 약 1,000명씩 총 6,000여 명에게 후보자 추천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낸다. 추천권 서한을 받는 대상은 문학상의 경우, 관련 기관과 단체를 비롯해 한림원 회원, 문학‧언어학 교수, 노벨 문학 수상자 등 전 세계에서 공인된 전문가( 각 나라의 작가협회 회장등)들로부터 후보 추천을 받는다. 매년 약 350여 명 가량이 추천된다고 한다. 서한을 받은 사람들은 해당 후보를 추천하는 이유를 서면으로 제출해야 하며, 자기 자신을 추천하는 사람은 자동적으로 자격을 상실하게 된다. 후보자 명단은 그 다음 해 2월 1일까지 노벨위원회에 도착해야 한다. 일부터 6개 노벨 위원회는 접수된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각기 선정 작업에 들어간다. 이 기간 동안 각 ..

독서노트 2024.10.11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론 . 총론

1901년 노벨상 제정과 함께 수여되기 시작한 노벨 문학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이상적인 방향으로 가장 탁월한 작품을 발표해 인류에 대해 위대한 공헌을 한 작가에게 수여된다. 물론 작가의 작품 전체가 고려의 대상이 되며 특정 작품이 언급되는 경우도 있다 (허밍웨이 노인과 바다). 노벨 문학상은 1901년 프랑스 시인인 르네 프랑수아 아르망 프뤼돔을 시작으로, 제1차 세계대전‧제2차 세계대전 기간과 적절한 작품이 없다는 등의 이유로 총 7차례에 걸쳐 시상이 이뤄지지 않은 경우를 제외하고 2019년까지 총 111차례에 걸쳐 116명의 수상자를 배출했다. 권위주의 체제를 비판하는 정치적 의미를 갖는 수상도 드물지 않다. 실제로 망명 작가. 반체제 작가, 저항 박가, 박해받는 작가, 해당 나라에서 출..

독서노트 2024.10.11

독서노트 01 - 가와바타 야스나리 편

야스나리편의 첫 순서는 다. 순서상 왜 이 아니냐는 질문은 물론 가능하다. 이것은 순전히 개인적인 선택이며 지금 다시 읽는 책이 이 아니라 이기 때문이다. 추후 도 되돌아 볼 것이다. 는 1948년 연재 시작, 1954년 완결되었으니 야스나라의 후기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야스나리가 말년에 기거했던 가마쿠라 하세 저택에서 쓴 작품이다. 저택 바로 옆에는 소설에 등장하는 감승신사가 있고, 신사 뒤편으로 야트막한 산이 있다. 그러나 패전 후 발표된 일본의 근대 소설 중 최고라는 찬사가 있다. 탐미 문학의 상징이자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제자(?)인 미시마 유키오가 “소름 끼칠 정도로 기묘하고 아름답다”라고 극찬했을 정도로, 한적한 산골 마을의 정경과 미묘한 계절의 변화를 섬세한 묘사와 농익은 문장으로 포착해낸 것..

시, 시인, 열전 2023.05.26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크리스티나 로젯티, 죽음에 대한 강반관념

“When I am dead, my dearest, Sing no sad songs for me; Plant thou no roses at my head, Nor shady cypress tree: Be the green grass above me With showers and dewdrops wet: And if thou wilt, remember, And if thou wilt, forget. I shall not see the shadows, I shall not feel the rain; I shall not hear the nightingale Sing on as if in pain: And dreaming through the twilight That doth not rise nor set, ..

시, 시인, 열전 2022.11.26